상세정보
원코스 서산 보원사지, 마애여래삼존상, 개심사, 당진 안국사지

원코스 서산 보원사지, 마애여래삼존상, 개심사, 당진 안국사지

저자
조명화(B급여행)
출판사
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
출판일
2016-06-08
등록일
2016-11-2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충청남도 서산(瑞山)은 천년전부터 뱃길을 통해 중국과 교류하던 태안반도의 시(市)로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를 비롯해 고려부터 신라, 조선시대의 숱한 불교유산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역사문화탐방지이다. 테마여행신문 TTN은 통일신라의 보원사지(普願寺址)를 시작으로 ‘백제의 미소’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와 충남 4대사찰로 손꼽히는 개심사(開心寺), 그리고 미륵신앙과 매향풍습(埋香)을 엿볼 수 있는 당진(唐津) 안국사지(安國寺址)를 엮어 수도권 여행자를 위한 당일치기 역사여행코스이자 고즈넉한 폐사지(廢寺址) 여행코스로 제안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원코스 서산(瑞山)’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여행하시길! B

서산(瑞山) 보원사지(普願寺址)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위치한 상왕산 보원마을에 자리잡은 고즈넉한 폐사지(廢寺址)다. 건물은 남아 있지 않지만 보물 103호로 지정된 당간지주(幢竿支柱)를 비롯해 고려시대의 오층석탑(五層石塔), 법인국사탑(法印國師塔), 법인국사탑비(法印國師塔碑)가 잘 보존되어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는 흔히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백제 불교유적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줄여서 서산 마애삼존불 혹은 서산 마애석불이라 부르기도 한다. 석가여래는 현재의 부처, 미륵은 미래의 부처, 제화갈라보살은 과거의 부처를 의미하며 이같은 삼존상(三尊像)은 모든 인간이 대도(大道)를 실천하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일명 법화경(法華經)에 근거한 것으로 중국남북조 시대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마음을 여는 사찰’ 개심사(開心寺)는 비록 그 규모는 작으나 충남 4대 사찰로 꼽히는 고찰이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개심사(開心寺) 대웅전(大雄殿)보다 눈여겨 봐야할 것은 오층석탑보다 큼지막한 높이를 자랑하는 괘불걸이(掛佛걸이)와 대웅전(大雄殿) 지붕에 얹힌 새하얀 연꽃 백자와정(白磁瓦釘).

'나라는 평안케 한다‘는 이름의 당진(唐津) 안국사(安國寺)는 창건 연대조차 알 수 없이 터만 덩그러니 남은 폐사지(廢寺址)이나 왜구에 시달리던 이들의 간절한 미륵신앙과 매향풍습(埋香)의 희귀한 흔적이 생생하게 보존되어 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