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격 과학이 아우러진 한국음식문화
한류 열풍이 세계를 향해 점진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음식 또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음식으로 점차 부각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김치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한국음식문화의 역사를 상기하면서 근 한 세기에 일어난 변화를 추적하는 동시에 지켜온 고유성을 확인하려는 뜻에서 시작했다. 한국음식을 세계에 알리고 현대화하는 방향의 설정은 외형에 매몰되지 않고, 우리 음식의 본모습을 알고 바른 지식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음식은 한 나라 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상징한다. 아마 그 나라의 내일까지도 음식으로 자존의 맥이 흐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음식을 사랑하고 아끼는 이들, 특히 새로운 세대가 본래의 청아한 한국의 정신을 담은 음식을 살려내고 세계에 알려주었으면 한다.
1923년 서울 출생으로 경기여고, 일본 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현 오짜노미즈여자대학) 가사과를 졸업했다. 중앙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 받았으며 명지대학교 가정과 교수,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수,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생활과학대학 학장, 대한가정학회, 한국식문화학회, 한국조리과학회 회장,서울특별시 교육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한국음식: 역사와 조리', '韓國食品史硏究', '우리나라 식생활문화의 역사', '韓國の食文化史'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齊民要術: 식품조리 가공편'(공역), '중국음식문화사'(공역), '일본식생활사' (공역) 외 다수가 있다.
한국인의 삶과 지혜가 깃든 떡
맛과 멋에 취하는 술
매끼 만나는 밥
우리 삶의 정이 깃든 김치
생기 돋우는 채소음식
조리법이 다양한 고기음식
담백한 맛의 생선음식
윤서석,윤숙경,조후종 등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