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가 된 우리 엄마
그는 묻는다.
사랑으로 보살펴도 부족할 자녀에게 매질하는 엄마는 마녀인가, 사람인가?
그는 말한다.
사회적 약자인 아동을 학대할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있지 않다고.
끔찍한 살인자 ‘록시 하트\'를 꿈꾸는 엄마와 기도밖에 할 일이 없는 아이들의 불편한 동거, 그리고 그 비극적 결말
부대찌개가 최고의 외식 메뉴였던 예라와 초롱이에게 갈비를 배 터지게 사주는 새엄마가 나타났다. 하지만 점점 본색을 드러내고 온갖 잔혹한 방법으로 아이들을 학대하기 시작한다. 술 마시고 한 대, 기분 나쁘면 한 대, 대답 안 했다고 한 대, 대답했다고 한 대….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이유로 학대는 계속되고 허수아비 같은 아빠는 전혀 아이들의 편이 돼주지 못한다.
뮤지컬 ‘시카고’의 살인자 록시 하트의 배역을 따내기 위해 점점 더 마녀가 되는 엄마와 마녀 엄마의 성공으로 떵떵거리면서 사는 게 목표인 아버지 밑에서 하루하루 시름시름 앓는 아이들. 그런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건 오로지 기도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브레이크 없이 달리던 엄마를 제지하는 그 무언가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 책은 긴장감 넘치는 상황 묘사와 절묘한 사건의 뒤엉킴으로‘완벽하게 불행한’아이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아동학대라는 한 가정의 무겁고 어두운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지켜야 하는 게 무엇인지, 우리가 무심코 외면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경고하고 있다. 이 세상에 그 누구도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때릴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은 없다. 아이들을 보듬고 지켜야 하는 부모라면 더욱 그렇다. 충격이라고 표현하기에도 모자란 아동학대 사건들이 현실에서는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불편하지만, 우리가 꼭 마주해야 할 책이다.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토목공학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을 거쳐 중국 연산(燕山)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에서 공부하였다.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에 근무하고 있으며 10년간 중국에서 파견근무를 하였다.
장편소설 『마녀가 된 우리 엄마』는 울산, 칠곡 계모 사건부터 최근까지 시리즈물처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우리 사회 아동학대 사건을 방지하고픈 마음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작가 역시 이와 유사한 어려운 어린 시절을 겪은 것을 거울삼아 우리 이웃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을 단 한 건이라도 줄이고자 하는 심정이 본 소설에 담겨 있다.
경희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에너지공단, 신세계백화점 등에 강의를 나갔으며 SK E&S, GS파워, GS ESP, CJ제일제당 등 기업체 자문도 하였다. 펴낸 책으로는 장편소설『중화만리』를 비롯한『돈 캐러 중국으로 가자』,『손에 잡히는 중국 읽기』,『이웃 나라 튀는 나라 중국』,『중국 사업, 진출에서 성공까지!』가 있다.
작가의 말 004
하예라와 하초롱 010
지옥문으로 들어선 아이들 057
집에서 쫓겨나다 160
악마들의 최후 231
김영우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