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한국이 낳은 가장 독보적이고 세계적인 사상가 김지하, 이 책은 그간 탐구 제기한 미학사상과 문명담론을 총정리하여 일단락 짓는 저술이다.
‘고리’를 원리로 하는 민족미학과 ‘그늘’을 최상승으로 하는 민중미학을 생명과 영성, 생명학적 변혁과 깊은 무의식의 명상을 두 기둥으로 하는 동아시아 나름의 ‘흰 그늘의 미학’의 차원에서 결합시켜보고자 하며, 아울러 저자가 21세기 문화현상을 결정하는 근원적 미학원리로 파악하는 ‘디지털-에코’와 관련하여 본격적인 미학사상을 개진한다.
1941년 전남 목포 출생으로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했으며,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등 다섯 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1964년 대일 굴욕외교 반대투쟁에 참가하여 첫 옥고를 치른 이래, 8년간의 투옥, 사형 구형 등의 고초를 겪었다. 독재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 온 양심적인 지성인으로서, 동학사상을 비롯한 한국 전통정신의 유산을 오늘의 상황 속에서 새롭게 변용시키고 재창조하고자 노력하는 사상가로서 독보적인 업적을 이룩했다.
1975년 로터스 특별상, 1981년 위대한 시인상과 크라이스키 인권상, 1993년 이산문학상, 2002년 정지용문학상과 만해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시집으로 『황토』, 『타는 목마름으로』, 『애린』, 『검은 산 하얀 방』, 『이 가문 날에 비구름』, 『별밭을 우러르며』, 『중심의 괴로움』, 『화개』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밥』, 『남녘땅 뱃노래』, 『살림』, 『생명』, 『동학이야기』, 대설(大說)『남』,『예감에 가득 찬 숲 그늘』, 『김지하 사상전집』(전3권) 등이 있다.
책머리에
제1부
그늘에서 흰 그늘로!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고리 속의 무궁
제2부
불혹
젊은 생명문학 훈수 몇 마디
종이꽃
소리에 대한 한 생각
자유의 만개를 기다리며
한류
흰 그늘의 미학(초)
삼은삼현
생명문학의 자발적 가난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