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독의 즐거움
느리지만 깊이 읽어 마음에 새기는 감동, 낭독의 즐거움
《낭독의 즐거움》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던 경험을 바탕으로 엮은 것이다. 10년 동안 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면서 알게 된 작품과 퇴직 후 틈틈이 도서관을 다니면서 읽은 책들 가운데 다른 사람도 함께 읽었으면 좋을 만한 작품을 원문과 함께 그 작품에 얽힌 사연 및 작가들의 삶에 얽힌 뒷이야기를 함께 담았다.
원저자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화려하기 그지없다. 윤동주, 이상, 이광수, 이효석, 현진건, 김유정 등 그야말로 책 몇 권쯤은 엮어낼 수 있는 내로라하는 작가들이다. 이 책은 그들의 주옥같은 작품 중 가장 아름답고, 소리 내어 읽기에 좋은 글을 가려 뽑은 것이다. 이에 때로는 소곤소곤 사랑을 속삭이듯, 또 때로는 아프고 다친 마음을 따스하게 쓰다듬어주듯 소리 내어 읽다 보면 한층 더 깊은 감동과 진한 여운을 느낄 수 있다.
“소리 내어 읽었을 때 나는 작가와 하나가 되었다!”
눈으로만 읽었을 때는 알 수 없었던 낭독의 즐거움과 감동
1941년 12월 말, 대학 졸업식을 치른 한 남자가 눈물을 머금은 채 창씨개명을 신청한다. 일본 유학을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하지만 그에게 있어 이런 선택은 부끄럽고 괴로운 것이었다. 그는 이런 참담한 심정을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나는 도무지 자유스럽지 못하다. 다만, 나는 없는 듯 있는 하루살이처럼 허공에 부유하는 한 점에 지나지 않는다. …… (중략) ……어디로 가야 하느냐. 동이 어디냐, 서가 어디냐, 남이 어디냐, 북이 어디냐. 아차! 저 별이 번쩍 흐른다. 별똥 떨어진 데가 내가 갈 곳인가 보다. 하면 별똥아! 꼭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져야 한다.”
시인 윤동주. 그는 끊임없이 자신을 반성하고 성찰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이 글(〈별똥 떨어진 데〉)은 그가 창씨개명에 대해 얼마나 부끄러워하고 괴로워했는지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시인 이상은 쇠약해진 몸을 요양하기 위해 친구의 고향(평안북도 성천)에서 한 달 동안 머물며, 그의 글 중 가장 아름다운 작품으로 꼽히는 〈산촌여정〉을 쓴다. 그는 여기에서 궁벽한 산촌의 하루를 수채화처럼 맑고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푸른 돌을 얹은 지붕에 별빛이 내리면 한겨울에 장독 터지는 것 같은 소리가 납니다. 벌레 소리 역시 요란합니다. 가을이 엽서 한 장 적을 만큼 천천히 오기 때문입니다. 이런 때 무슨 재주로 광음을 헤아리겠습니까?”
윤동주와 이상.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작가들이다. 그만큼 그들의 글은 깊은 감동과 진한 여운을 남긴다. 우리의 감성을 오롯이 자극하기 때문이다. 특히 눈으로만 읽는 것이 아닌 소리 내어 읽을 때 그 감동은 더하다. 마치 내가 작가라도 된 듯 가슴이 벅차기까지 하다.
낭독을 일컬어 ‘입으로 읽고 마음에 새기는 더 깊은 감동’이라고 한다. 그만큼 낭독은 ‘읽는 재미’와는 또 다른 ‘듣는 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눈으로만 읽었을 때는 알 수 없는 즐거움과 감동이 있다.
윤동주, 이상, 이효석 등 우리 문학사를 빛낸 내로라하는 작가들의
주옥같은 글 속에서 건져 올린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아름다운 글귀!
《낭독의 즐거움》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던 경험을 바탕으로 엮은 것이다. 10년 동안 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면서 알게 된 작품과 퇴직 후 틈틈이 도서관을 다니면서 읽었던 책들 가운데 다른 사람도 함께 읽었으면 좋을 만한 작품을 원문과 함께 그 작품에 얽힌 사연 및 작가들의 삶에 얽힌 뒷이야기를 함께 담았다.
원저자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화려하기 그지없다. 윤동주, 이상, 이광수, 이효석, 현진건, 김유정 등 그야말로 책 몇 권쯤은 엮어낼 수 있는 내로라하는 작가들이다. 이 책은 그들의 주옥같은 작품 중 가장 아름답고, 소리 내어 읽기에 좋은 글을 가려 뽑은 것이다. 이에 때로는 소곤소곤 사랑을 속삭이듯, 또 때로는 아프고 다친 마음을 따스하게 쓰다듬어주듯 소리 내어 읽다 보면 한층 더 깊은 감동과 진한 여운을 느낄 수 있다.
조곤조곤 들려주는 희망과 격려, 위안을 안겨주는 문장,
그리고 그 속에 녹아든 감동과 눈물로 빚어진 인생 이야기!
괴테는 여든셋까지 다양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로 어린 시절 어머니와 나눈 낭독을 꼽았다. 그의 어머니는 밤마다 어린 아들과 함께 소리 내어 글을 읽었다. 또 결말 부분은 들려주지 않고 직접 완성해 보라고도 했다. 이렇듯 낭독에는 한 구절 한 구절 음미하며 뒷이야기를 상상해보는 즐거움이 있다.
이렇듯 낭독을 하다 보면 눈으로만 읽을 때는 알 수 없었던 글에 담긴 작가의 의도와 마음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다. 조곤조곤 들려주는 희망과 격려, 위안을 안겨주는 문장, 그리고 그 속에 녹아든 감동과 눈물로 빚어진 인생 이야기를 통해 조금 더 그들의 삶에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눈으로만 하는 독서에 익숙한 이들에게 색다른 즐거움과 함께 감동을 넘어 따뜻한 위로와 격려가 될 것이다.
빨간솜사탕
여자, 40대.
낭만 부인, 가을 엄마, 솜사탕 선생님.
시, 가을, 솜사탕을 좋아하고, 10년 동안 중학교 국어 선생님을 지냈다.
지금은 30여 년 동안 낯선 타인으로 지내오다가
14년 전부터 한집에서 함께 살게 된 오지랖 넓은 남편과
자신을 닮은 예쁜 딸 둘을 키우면서 틈틈이 글을 쓰고 있다.
아메리카노보다 달콤한 초코라테를, 수다보다는 독서를, 백화점보다는 도서관을
즐겨 찾으며, 스스로 문화 창달에 힘쓰고 있다.
어떤 일이 있어도 일 년에 한 번은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다.
그때는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엄마가 해준 밥을 먹으며 무위도식했던 여중생처럼 지낸다고.
수업 시간에 아이들에게 읽어주던 글 중
감동적인 부분에 빨간색 밑줄을 그어대곤 해서
‘빨간솜사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 빨간색 밑줄과 도서관에서 틈틈이 읽었던 책 속의 감동적인 문장이
이 책을 만드는 바탕이 되었다.
낯선 일이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리 힘들거나 어렵진 않았다고.
책이 출간되면 자신이 가려 뽑은 책 속의 멋진 문장을
가족 앞에서 으스대며 낭독해주겠단다.
남편 출근 후, 아이들을 학교에 보낸 후 조용히 책을 읽는 시간이
하루 중 가장 기다려진다고.
프롤로그 | 입으로 읽고 마음에 새기는 더 깊은 감동
Part 1. 나는 돈을 벌 줄 모릅니다.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을까요?
#01 슬픔 위에 덧쌓이는 슬픔이여
- 이광수, 〈뻐꾸기와 그 애〉
#02 나는 돈을 벌 줄 모릅니다.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을까요?
- 이 상, 〈슬픈 이야기〉
#03 엄마는 수없이 울었을 것이다
- 김남천, 〈어린 두 딸에게〉
#04 아내는 왜 그리도 나를 끔찍하게 여겼을까
- 이효석, 〈사랑의 판도〉
#05 카페의 밤은 부슬비 뿌리는 그믐밤과도 같았습니다
- 홍난파, 〈이탈리아 소녀〉
#06 님 있고, 밥 있고, 이러한 곳이라야 행복이 깃듭니다
- 김유정, 〈잎이 푸르러 가시던 님아〉
#07 애인을 잃고 쫓겨난 공주와 같은
- 나도향, 〈그믐달〉
#08 미끄러지듯 풀 위로 나타났다 숨는 그 예쁜 발
- 현진건, 〈여름과 맨발〉
#09 고운 나비의 날개, 비단 같은 꽃잎
- 방정환, 〈어린이 찬미〉
#10 잘 그리지도 못하는 솜씨로 종이 위에 당신을 그려놓고
- 노자영, 〈백양사에서〉
#11 비록 서너 시간 밖에 만난 일이 없지만
- 이광수, 〈연분〉
Part 2. 우리의 상처를 만져주는 따뜻한 세계가 있다면
#01 푸른 돌을 얹은 지붕에 별빛이 내리면
- 이 상, 〈산촌여정〉
#02 없는 듯 있는 하루살이처럼 허공에 부유하는 한 점
- 윤동주, 〈별똥 떨어진 데〉
#03 매일 태양과 바다와 더불어 결혼식을 올렸다
- 이효석, 〈처녀 해변의 결혼〉
#04 이성은 투명하되 얼음과 같으며, 지혜는 날카로우나 갑 속에 든 칼이다
- 민태원, 〈청춘예찬〉
#05 낙엽 타는 냄새같이 좋은 것이 있을까
- 이효석, 〈낙엽을 태우면서〉
#06 친구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철학은 필요하다
- 김진섭, 〈생활인의 철학〉
#07 사람의 원수는 사람들 자신이다
- 김남천, 〈나는 파리입니다〉
#08 먼─ 꿈의 세계를 너무나 똑똑히 눈앞에 보는 것 같아
- 이 상, 〈동심행렬〉
#09 살만큼 살아본 이는 인생이 얼마나 험한지 잘 알고 있다
- 김상용, 〈무하록〉
#10 고독이 심할수록 조용한 곳을 찾기보다는 더 깊은 고독에 빠지곤 한다
- 계용묵, 〈고독〉
#11 우리의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따뜻한 세계가 있다면
- 윤동주, 〈화원에 꽃이 핀다〉
Part 3. 이 세상은 가면무도회!
너도, 나도, 그도, 저도 탈바가지를 쓴 채 춤을 춘다
#01 탄탄한 갈대로 화살을 삼아 무사의 마음을 먹고 달을 쏘다
- 윤동주, 〈 달을 쏘다〉
#02 햇볕의 아름다운 음악을 들을 때마다
- 방정환, 〈첫여름〉
#03 쫄쫄 내솟는 샘물 소리도 좋고, 촐랑촐랑 흘러내리는 시내도 좋다
- 김유정, 〈5월의 산골짜기〉
#04 봄은 단술과도 같아서 사람을 취하게 한다
- 최서해, 〈봄을 맞는다〉
#05 괴로워하는 것을 낙으로 삼는 것이 인생 본래의 사는 재미인지도 모른다
- 계용묵, 〈정릉 일일〉
#06 가벼운 바람에도 민첩하게 파르르 나부끼는 사시나무 숲
- 이효석, 〈주을의 지협〉
#07 녹음 짙은 포플러가 미풍을 받아 가볍게 흔들린다
- 채만식, 〈6월의 아침〉
#08 고향으로 향한 차도 아니건만 공연히 가슴은 설렌다
- 윤동주, 〈종시〉
#09 간간이 부는 바람에 나무 끝이 한들한들 조용하게 흔들린다
- 방정환, 〈뭉게구름의 비밀〉
#10 귀뚜라미 소리가 숲 속에 여물면 수족의 건강도 창포 속에 여무오
- 계용묵, 〈고독〉
#11 이 세상은 가면무도회! 너도, 나도, 그도, 저도 탈바가지를 쓴 채 춤을 춘다
- 노천명, 〈해변단상〉
빨간솜사탕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