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에서 부조리를 하면 안 되는 이유
『군대에서 부조리를 하면 안 되는 이유』는 저자가 군 복무 시절 동안 겪은 부조리들을 밝혀 고발하고,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사회적 분위기, 인간의 심리적 욕구, 처참한 수준의 사병 대우 수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각종 사회적 실험을 예로 들며 주장에 힘을 싣는다. 그리고 ‘군기’를 잡는다는 명목하에 자행되는 각종 부조리들이 오히려 전투력을 하락시키고 각종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명백하게 밝혀낸다.
서문 _ 05
제1장-부조리를 하면 안 되는 이유
부조리로 인한 군기는 전투력을 저하시킨다 _ 10
군대를 다녀와야(가혹 행위를 겪어야) 어른이 된다고? 노벨상 수상자와 범죄율을 보고도 그런 소리가 나오는가? _ 13
제2장-인간은 왜 타인에게 규제를 가하는가
선과 악의 정체. 아이가 곤충이나 동물을 괴롭히며 웃는 이유 _ 20
상황에 휩쓸리는 자들. 상황의 힘 _ 24
제3장-규제를 당하는 자들의 심리
“저도 처음엔 규제가 싫었습니다. 하지만 곧 가해자에게 아버지 같은 정을 느꼈습니다”라고 말하는 피해자의 심리 _ 32
피해자들이 오히려 가해자를 옹호하고, 약자를 배척하는 심리 _ 36
눈앞의 이익밖에 보지 못한다 _ 39
제4장-규제를 가하는 자들의 심리
“나도 하기 싫어. 군대라서 어쩔 수 없어”라고 말하는 사람의 심리 _ 44
용서를 빌지 못하는 이유_ 50
“우리 땐 더 심했어. 니들이 다녀온 군대는 군대도 아니야”라고 말하는 심리 _ 59
야! 그래도 미안하다고 하잖아 _ 62
내가 원래 성격이 이래. 네가 이해해라 _ 65
“나는 과거에 연연하지 않아. 너는 언제까지 과거에 사로잡혀 있을래”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심리 _ 67
“내가 원래 나쁜 사람은 아니야.” 말년에 착해지는 병장. 그는 원래 선한 사람인가? 아니, 그는 또 같은 상황에 처하면 다시 부조리를 저지를 것이다 _ 71
왜 아무도 권위에 맞서지 않는가? _ 77
전역 후, 자신의 악행을 숨기려는 이유 _ 81
나쁜 짓을 저지른 사람이 오히려 큰 목소리로 바른말을 외친다 _ 84
제5장-관심병사의 영웅적 행동
관심병사라는 딱지가 이마에 붙으면? _ 98
한국 남자들이 부적응자(관심병사)를 혐오하는 진짜 이유 _ 101
관심병사(부적응자)들이여, 그대들이 옳다. 그대들은 영웅으로 불려야 한다 _ 108
제6장-수양록
작가가 군대에서 만났던 병사와 간부들 _ 112
작가가 군대에서 얻은 트라우마 _ 190
전역했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 악몽은 계속된다. 권역화 훈련 _ 194
작가가 전역까지 버틸 수 있었던 이유 _ 195
후기 _ 197
나대빈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