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과 청각 - 직업인의 난청
현대 산업화된 사회에서 소음으로부터 벗어나기는 힘들다. 소음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소음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으로부터 보호와 소음 저감을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 산업장의 소음은 여러 작업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소음성 난청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서는 작업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직업성 난청의 주요 원인인 소음뿐 아니라 다양한 소음 환경과 그로 인한 청력 영향과 이명, 청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과 일반 근로자 이외에 일반 인구집단, 소아 청소년, 노인 및 특수종사자의 청력영향, 소음 노출로 인한 업무관련성이 높은 직업성 난청,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평가와 소음성 난청의 청능재활,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음성 난청에 대한 주요 논점 및 우리나라의 산업청각학적 연구고찰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보건학 박사,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 전문의
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위원(1995∼현재)
직업건강연구센터 직업건강연구팀장(2012.10∼현재)
특수건강진단기관 정도관리위원(청력분야)(1996∼현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청각장애연구 편집위원(1998∼2008.12)
한림대학교 국제대학원 청각학과 겸임교수(2000∼현재)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방문연구원(2001.11∼2002.1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외래부교수(2002.3∼현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평의원(2003.12∼2010.11)·이사(2010.12∼현재)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연구이사(2003.8∼현재)
산업재해보상보험심사위원회 자문의(2004.4∼2008.4)
ISO/TC 43/SC 1/WG 53(Acoustics -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Exposure to Noise in a Working Environment) Member(2004∼현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센터 자문위원(2006.2∼2008.2)
직업병연구센터 소장(2006.3∼2006.12)
환경기술평가심의위원회 위원(소음진동방지기술)(2006.7∼2008.6)
대한산업의학회 학술위원회 위원장(2008.12∼2010.1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서울시 지하철 최적근무위원회 위원(2012.7∼2014.7)
머리말
PART 01 인간의 청력과 소음노출
제1장 인간의 청력
제2장 일반인의 소음노출
제3장 소음노출 사업장의 소음노출 수준과 소음성 난청
PART 02 환경 소음과 저주파 음의 노출 영향
제4장 환경 소음과 도시 소음의 문제 - 주택 외부 환경 소음
제5장 환경 소음과 도시 소음의 문제 - 주택 내부 소음
제6장 환경 소음의 건강영향과 규제
제7장 일상생활에서의 저주파 음의 노출과 건강영향
제8장 일상생활에서의 저주파 음의 노출과 건강영향 - 진동음향 질환
PART 03 소음 노출과 청력영향
제9장 소음환경하에서의 어음인지와 청력손실
제10장 소음노출과 일시적 난청
제11장 소음과 이명
제12장 소아 아동의 소음노출과 청력영향
제13장 취미 및 스포츠 활동에 따른 소음노출과 청력영향
제14장 휴대용 음향기기와 헤드셋 착용자의 소음노출과 영향
PART 04 연력, 건강행태, 질병과 청력
제15장 청력의 연령효과와 노인성 난청
제16장 건강행태 음주, 흡연 등 와 청력영향
제17장 일반 질병 당뇨, 신장질환 등 에 의한 청력영향 - 난청의 유형에 따른 특성과 원인 질환
제18장 일반 질병 당뇨, 신장질환 등 에 의한 청력영향 - 당뇨와 난청
제19장 일반 질병 당뇨, 신장질환 등 에 의한 청력영향 - 신장질환·류머티스성 관절염과 난청
제20장 일반 질병 당뇨, 신장질환 등 에 의한 청력영향 - 기타 질환과 난청
PART 05 유해요인과 직업에 의한 청력영향
제21장 화학물질의 이독성
제22장 소음 이외 물리적 요인 진동, 라디오파, 방사선 등 에 의한 청력영향
제23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공공 근무 종사자
제24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군인
제25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음악가
제26장 특수 종사자의 청력영향 - 용접공과 도장공
제27장 소음노출로 인한 업무 관련성이 높은 직업성 난청 사례
PART 06 청력보존 프로그램과 청능재활
제28장 청력보존 프로그램의 평가
제29장 소음성 난청의 청능재활
PART 07 소음성 난청, 산업청각학적 연구 고찰
제30장 소음성 난청에 대한 주요 논점
제31장 우리나라의 산업청각학적 연구 고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