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재경영
이 책 「미국의 인재경영」은 이렇게 현장에서 조직과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HR 실무자들 및 대학에서 미래의 ‘인사쟁이’가 되고자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과 함께 미국의 HR을 공부하고 토론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지난 4년간 〈월간 인재경영〉에 기고하였던 글들을 모은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을 지면에 연재하던 지난 4년(2009년~2012년)은 미국에 있어서도 매우 어려운 시기이자 미국의 HR에 있어 하나의 전환점이었다고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의 인재경영〉을 이 시기에 쓸 수 있었다는 것은 과거와 미래를 바라보는 두 가지 프리즘을 얻을 수 있었다. 전환기의 미국이 어떠한 고민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는지를 공부하는 것은 우리에게도 유익한 반면교사가 될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는 미국의 HR 관련 제도와 사례를, 2부에서는 미국의 HR 트렌드와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인재경영〉 지면에 소개된 이후에 변경된 사항들은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현재시점에서 읽어도 무리가 없게끔 편집하였다. 또한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본문에 언급된 개념이나 제도 중에서 본문에 설명이 되어 있지 않거나 미흡한 내용을 용어설명 형태로 좀더 추가적인 설명을 넣음으로서 독자들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추천사
머리말
01 미국의 HR: 그 고유함과 특별함에 대하여
1부 미국의 HR 제도
02 베이비붐 세대의 퇴장과 대응책
03 그는 왜 공무원이 되려고 할까?
04 위스콘신주 ‘반공무원노조법’의 배경
05 비정규직에 대한 보상 및 복리후생
06 직장 내 이성교제와 성희롱
07 직장 내에서의 프라이버시
08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사상의 차별
09 직장 내 폭력과 예방
10 채용 및 선발을 위한 신원조회
11 퇴직계약에서의 권리유보
12 과다지급된 임원 성과급의 회수
13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편견과 진실
14 인력투자법의 정책적 효과
2부 미국의 HR 트렌드
15 혁신에 이르는 길
16 고용시장의 변화와 대응
17 기업조직의 미래
18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HR의 역할
19 소셜미디어와 HR
20 채용프로세스의 재검토
21 성과기반 보상의 미래
22 업무성과에 대한 평가
23 T자형 인재가 뜬다
24 감성지능
25 실행공동체의 진화방향
26 긍정심리학과 강점기반의 리더십
27 임원보상에 관한 논쟁
28 아웃플레이스먼트 서비스
29 HR부서의 성과측정
30 HR 아웃소싱
31 일과 가정 간의 균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