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비평의 이해와 접근 : 내일을여는지식 문화예술 43
무용비평은 기본적으로 안무가의 작품의도가 무용매개체를 통해 표현·전달되는 미적 의미 및 특성에 대한 이해와 평가이며, 비평가의 인식적 자산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무용비평을 통한 작품이해와 평가는 비평가의 미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작품에 관한 재해석이라는 점에서 창조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여러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학생들이 무용 지식 및 경험에 맞추어 다양한 수준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무용비평과목이 아니더라도 작품 또는 무용동작에 관한 분석적 결과물이 요구되는 무용역사, 동작분석 등과 같은 과목에서도 수강학생들의 무용배경 수준에 적합하게 변형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황인주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무용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New York University에서 무용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신라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무용미학, 무용비평 및 무용교육이며, 한국무용기록학회 학회장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및 한국무용기록학회지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서문
제1부 무용표현의 미학적 구조 및 안무과정
제1장 무용작품의 예술성 및 상징성
제2장 무용표현의 미학적 구조
제3장 안무과정의 기능과 구조
제2부 무용비평의 개념 및 구조
제4장 무용비평의 개념 및 성격
제5장 무용비평의 미학적 역할과 미적 선호
제6장 무용비편의 기본틀
제3부 무용비평의 방법론
제7장 무용이해 및 해석의 접근방법론
제8장 무용비평교육에서 비평연습방법론
제9장 안무교육에서 비평적 평가방법론
제10장 무용작품의 미적 가치 식별을 위한 기능구조
제4부 무용양식의 개념 및 안무영역의 구조
제11장 무용양식의 개념 및 제약조건
제12장 안무영역의 개념 및 구조
색인